Step
Step 0: 기본 세팅
1) 환자 성명 2) 전극 방향(lead II가 cardiac vector와 동일, aVR은 반대) 3) calibration. speed, amplitude 기본 설정값 확인
Step 1: Regularity
P-P = atrial rhythm의 regularity
R-R = ventricle rhythm의 regularity
Step 2: Rate
- rhythm이 어디서 originate 되는가?
ex) A-flutter HR 90이면 with CVR이나, atrial rate는 2-300쯤
Step 3: P wave (심방 탈분극)
- P wave가 있는지(P-QRS ratio), inverted 되지 않았는지(junctional)
Step 4: PRI (심방 탈분극 ~ 심실 탈분극). 0.12-0.2sec
Step 5: QRS (심실 탈분극). 0.12sec 이하. wide하고 abnormal P 시 ventricular rhythm
Step 6: T wave (심실 재분극)
- inverted T(subendocardial ischemia), tall T(+5mm 이상. hyperK, acute MI)
- ST segment: PR segment(baseline)와 비교. reciprocal change 확인
ST elevation: +1mm 이상. epicardial ischemia, total coronary occlusion. / straight or covex(볼록) 일수록 위험
ST depression: -0.5mm 이상. endocardial ischemia, Oxygen demand ischemia. / flat or downsloping 일수록 위험
- U wave(Purkinje fiber 재분극); hypokalemia
Step 7: QT interval(심실 탈분극 ~ 심실 재분극)
- QTc 350-450ms. prolonged QT 시 torsade 가능
- Ca2+는 plateu와 비례하므로, QTc와 반비례
Step 8: Evaluate any other components
Cardiac action-potential

ST segment & T-wave
* NSTEMI: partial occlusion = endocardial ischemia. 따라서 endocardium에서 조기(=QRS 전) 탈분극이 일어난다. 일찍 일어난 탈분극이 vector가 동일한 depolarization이므로 (+) wave가 나타난다. 즉, PR segment 상승 - QRS(전체 심실 탈분극) 직후 0mV - 일반적 심실 재분극 순으로 진행되며, 여기서 ST depression처럼 보이지만 ST는 원래 0mV이고 endocardium의 조기 탈분극으로 인해 baseline이 올라간 것으로 설명된다.
* STEMI: total occlusion = epicardial cell까지 전부 ischemia. 따라서 epicradium 부분에서 조기 탈분극이 일어난다. vector와 반대인 depolarization이므로 (-) wave가 나타난다. 즉, PR segment 하락 - QRS 직후 0mV - 일반적 심실 재분극 순으로 진행될 때, (NSTEMI와 반대로) ST elevation처럼 보이지만 baseline이 내려간 것으로 설명된다.
* inverted T: normal T wave mechanism에 대해 먼저 이해해야 한다.
Q) T wave는 repolarization인데 왜 (+) wave인가?
A) 원래 subepicardial cell이 subendocardial cell보다 depolarization 지속시간이 짧다. 따라서 epicardium 쪽이 먼저 재분극이 시작되므로, 재분극이 epicradium-endocardium 순으로 진행된다. 이 순서는 vector와 반대이니까 (-) wave인데, depolarization과 반대인 repolarization이므로 다시 (-) wave, 즉 (-) x (-) = (+)이므로 T wave가 (+) wave를 띠게 된다.
>> partial occlusion으로 endocardial ischemia가 생기면, K+ leak 증가로 endocardium 쪽에서 repolarization이 빨리 시작된다. 따라서 재분극 순서가 endocardium-epicardium 순이 되고, vector와 일치하는 repolarization이므로 (-) wave, 즉 inverted T가 나타난다.

* Reference
CV Physiology | Electrophysiological Changes During Cardiac Ischemia
'의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코일색전술 후 재발한 뇌동맥류 치료(Management of previously coiled recurrent intracranial aneurysm) (0) | 2023.08.19 |
---|---|
케톤 대사(Ketone body metabolism) (1) | 2023.08.08 |
당 대사(Glucose metabolism) (0) | 2023.08.05 |
스테로이드(Steroid) (0) | 2023.07.31 |
면역 반응(Immune response) (0) | 2023.07.23 |